경희대학교 허선영 교수님의 운영체제 수업을 기반으로 정리한 글입니다.Process in MemoryProcess Address Space: 메모리 중 process가 사용하는 공간 -> 4가지 섹션stack: 함수의 local variable, return address 등 (e.g., main, add)heap: 동적 objectdata: 전역 변수 text: 코드 = 명령어 (read only)※ 전역 변수 따로 저장하는 이유: stack은 함수마다 공간 존재하지만, 전역 변수는 모든 함수가 접근 1. stack각각의 함수는 stack frame을 갖게 되고, 이 frame 내에서 해당 함수가 사용하는 local variables 저장됨-> 함수 호출/return에 따라 stack 크기 업/다운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