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희대학교 장대희 교수님의 정보보호 수업을 기반으로 정리한 글입니다.DNS와 hosts 파일인터넷에 대한 프로토콜이 다양하게 있는데, 그중에 보안과 연관성이 많은 대표적인 것이 바로 DNS이다.hosts 파일을 이용한 정보 수집Hosts 파일DNS 프로토콜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론엔 세 가지가 있다. 실제로 서버와 패킷이 왔다갔다 하며 IP를 해석하는 것, 혹은 한 번 알아낸 IP 주소를 캐싱 하거나, 따로 매우 자주 사용하는 도메인의 경우엔 아예 하드코딩하여 지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hosts 파일이라는 게 결국 DNS의 가장 기초적인 것 중 하나인 하드코딩에 해당한다. 매번 domain의 ip 주소를 해석해야 하면 성능이 느려지고 부하가 많아지니, 어차피 바뀔 일 없는 그런 도메인 서버 하나에 고정..